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장바구니  |  My page  |  주문조회   
SEARCH
전각초대작가 예인의
도장은 인면의 서체새김
부터 인신새김까지 일련
의 모든 제작과정을 작가
가 직접 수공작업으로
하며 절대 학습자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Email Phone Kakao
HOME > 책도장.커플도장 > 책도장15mm
도장재료 고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서체 샘플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서체명 : 클릭-서체선택
인신문양 샘플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문양명 : 클릭-문양선택
작품명 클릭-재료선택
도장크기
재료번호
판 매 가 0 원
적립포인트
재 질
제 작 예인새김방

주문가격 0 원
적립금(5%) 0 원 (현금 결제시)
새길 이름
(漢字인 경우 漢字로 입력)
새김 언어
(좌측 사진선택)
측면 메시지
인신새김
(좌측 사진선택)
주문 수량
updown
기타 요구사항
0/500 (상단 혹은 좌우에 삽입할 ★‚●‚1 등 명시)
 


     에 찍는 책도장   


                

                                                                                                  

  

                   

                     또한, 사랑하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또는 연인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또는 평소에 해주고 싶었던 이야기를 담은 책이나 
                     시집에
나만의 책도장을 찍어서 선물한다면 받는 이의 기쁨은 두배가 되고
                     주는 이의 품격은 세배가 되겠지요.


 

     같은 모양이 없습니다  

 

                      
             


                     자연에서 채취한 돌은 같은 몸체에서 분리된 돌이라도
                    
모두 다른 색깔 다른 문양을 지니고 있습니다. 
                     재료는 상품주문창에서 사진을 보고 직접 선택하실 수 있으며 각각의 돌은
                     모두 하나하나 고유번호가 부여되어 진정 세상에 하나빆에 없는 도장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 본 도장은 통장개설과 인감 등재용으로 가능합니다 ***

  

 

   전공정 수공제작 

​                    

                     예인의 도장은 인면의 서체 새김부터 인신새김까지
                     일련의 모든 제작과정을 작가가 직접 수작업으로
                     하며 절대 학습자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이는 제작과정 자체가
                     남에게 맡길수 없는 작업이며 도장 한점한점 모두 작가의 심혈을 기울여서 탄생되는 작품이기 때문입니다.

 

 


     서체는 학문입니다


 

 

                     전문 전각초대작가의 도장은 서체가 다릅니다. 전각은 예술의 한 장르이며 
                     동시에 학문의 결정체입니다.  예인의 전각도장은 수천년에 걸쳐 변화 발전
                     되고 정립된 서예기반의 예술과 학문을 바탕으로 제작됩니다. 예인의 
                     도장은 '한글훈민정음체'와 '한글판본체' 그리고 '한문전서체'를 기본서체로 합니다.

                     ​원하시는 기본 서체는 상품주문창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한글 훈민정음체

            

                ​       ​한글 훈민정음체 양각 :
                      
책도장에 적합한 한글 훈민정음체로서 글자와 글자 사이에 구분선 격자를 넣어서
                       조형미를 더하거나 또는 격자를 넣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글자 획의 구성을 판단하여 작가가 임의로 넣을 수도 있으며 혹은 주문자의
                       요청에 따를 수도 있습니다. 격자의 삽입은 고대 인장디자인의 한 기법입니다.


             

                      ​한글 훈민정음체 음각 : 

                      ​붉은색의 인주가 넓게 찍히고 글자의 선획이 굵은 음각도장에서는 장중하고
                       안정된 무게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글훈민정음체와 영문 혼합각 :

​                       ​한글 훈민정음체와 영문 그리고 음각과 양각이 함께 어우러진 혼합각은 디자인
                       자체로서 작품이라 할 수 있으며, 외국인 친구에게 가장 한국적인 선물이 될것입니다.
                       혼합각은 구성 방법에 있어 전문가적인 디자인 감각이 필요하므로 작가에게 일임해 주실것을 권해드립니다.


 

                       ​天(●) 地(ㅡ) 人(ㅣ)을 기본으로 하는 한글 훈민정음 서체의 원형은 [용비어천가] 제1장
                       "불휘기픈남간바라매아니뮐쌔곶됴코여름하나니 새미기픈므른가마래아니그츨쌔내히
                       이러바라래가나니......"에서 보듯이 부드러운 고딕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예인의 도장은 그 디자인을 왜곡시키지 아니하고 약간의 변화와 창조과정을 거쳐 아름다운
                       훈민정음체 도장을 만듭니다.
                       이는 일제강점기 이후 변형되고 왜곡되어 우리 한글도장에 새겨져왔던 소위 '한글전서체'라는
                       근본도 없는 서체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아름답고 뛰어난 서체입니다.

                       점과 선과 동그라미의 어우러짐에서 무한한 변화를 느낄수 있으며 자연스레 확보되어지는 적당한
                       공간의 배치는 우리에게 넉넉한 여유로움을 선사해 줍니다.

                       天地人으로 이루어진 우리 한글 이름에는 이미 우주의 정기와 음양의 조화와 균형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 이름에는 '...인'과 같은 첨자를 필요로하지 않습니다.

                

                 

 



                 ​■  한글 판본체

 

                  
  

                  

 

                        ​한글판본체는 한글 고전서체로서 [훈민정음언해]를 비롯하여 [월인천강지곡]
                      [두시언해][심청전][홍길동전] 등이 모두 판본체로 인쇄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통서각기법으로 목판에 새겨서 한지에 찍어 책으로 발간된 한글 서체로서 선획의 질감과
                      선 끝의 모양이 붓글씨 서체와는 또 다른 지극히 졸박하고 순박한 맛이 일품입니다.

                        은근히 베어나오는 판본체의 고졸미에서 우리는 세월이 가면 갈수록 보면 볼수록
                        정감이 가고 싫증나지 않는 우리 글자의 미학을 느낄수 있습니다.

 

 

                 ​■  한문 전서체(漢文篆書體)                                           

                                   

                    
                                                              
        

                        기원전 BC1400-BC1046년 중국 은(殷)왕조 시대에 북방에 거주하던 동이족(東夷族,
                        동쪽의 활 잘쏘는 민족, 현재 韓民族의 조상)이 거북의 껍질과 소의 뼈에 새겨서 사용하던
                        그림에 가까운 형태의 갑골(甲骨)문자가 한자의 기원입니다.

                        이후 갑골문이 글자의 형태를 갖추며 발전하는 과정에서 주(周)나라 때에는 금문(金文)의
                        형태로, 진(秦)나라 때에는 소전(小篆) 즉 전서(篆書)라는 서체로 통일된 모양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 전서체(篆書體)를 도장으로 새기기 시작하면서 전각예술이 발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전서체는 해서(楷書)나 예서(隸書)와 달리 군더더기 없는 뼈대로 이루어졌으며 左.右.上.下의
                        균형미가 뛰어난 서체이기에 황제의 옥새는 모두 전서로 새겨졌으며 이후 모든 도장서체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예인의 한문도장은 모두 전서(篆書)를 기본으로 하며 상황에 따라 금문(金文)과 갑골문(甲骨文)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희망과 행운을 가져다 주는 인신새김

 

                        인신(印身)새김이란 도장의 몸체에 새기는 문양을 말합니다. 
                        예인도장의 인신새김은 단순히 시류에 편승하는 현대적이고 대중적인 캐릭터 형태의 화려함을 
                        거부합니다. 철저히 학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여 문양이 내포하고 있는 옛 시대로 부터의 깊은 의미를 중시합니다.
                        도장은 그 주인과 함께 한평생을 같이 할 분신과 같은 존재이기 때문입니다.
                       
평생을 보아도 싫증나지 아니하고 도장의 주인에게 믿음과 희망과 행운을 가져다 줄 그런 인신새김이어야 합니다.

                        *** 인신새김 문양은 상품주문창에서 선택하시거나, 또는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인생철학이 담긴 4~5글자의 
                        짧은 문구나 혹은 특별한 문양을 별도로 주문하실 수 있습니다.

                 
                   
          

                      

                       

                      

                       

                     
     

 

     작품확인서

 

                       

                           작품확인서는 인쇄된 종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황제의 고귀함을 나타내는 노란색 한지에 주문자의 완성된 도장을 찍고
                           작가가 직접 붓으로 제작시기와 작가명을 쓰고 
                           끝으로 작가의 낙관인을 찍어서 완성합니다.

 

 

     도장과 인주를 한 케이스에

 

                         

                            고급 인주와 도장작품을 하나의 상자 안에 편리하게 보관하실수 있도록
                            하드케이스를 준비하였습니다.
                            하드케이스와 고급인주는 예인의 기본 제공품입니다. 

 

 

       

                             

                            작품확인서를 함께 동봉하고 전통한지로 예쁘게 포장합니다.

 

                           

               

                            완성된 작품은 안전하고 확실하게 우체국택배로 발송합니다.
                            발송비는 전액 예인에서 부담합니다.

                            제작기간은 5~7일정도 소요되며 주문대기량에 따라 연장될 수 있습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용약관
상호 : 예인새김방 | 사업자등록번호 : 133-01-74755 | 대표 : 김광동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4-경기안산-0814 호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예술대학로 105 603-101(고잔동, 주공아파트)
작업공방 : 경기도 시흥시 군자로 336(거모동 522-4번지)
고객센터 : 031-484-3653 | E.mail : yein5585@naver.com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광동
Copyright ⓒ Yeinsegim All rights Reserved.
인증마크
가입사실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