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장바구니  |  My page  |  주문조회   
SEARCH
전각초대작가 예인의
도장은 인면의 서체새김
부터 인신새김까지 일련
의 모든 제작과정을 작가
가 직접 수공작업으로
하며 절대 학습자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Email Phone Kakao
HOME > 대추목.물소뿔.상아도장 > 맘모스상아
도장재료 고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서체 샘플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서체명 : 클릭-서체선택-맘모스상아인감
인신문양 샘플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문양명 : 클릭-문양선택
작품명 클릭-재료고르기-맘모스상아
도장크기 인면17.5mm,길이6cm
재료번호
판 매 가 1,500,000 원
적립포인트
재 질 맘모스상아
제 작 예인새김방

주문가격 1,500,000 원
적립금(5%) 75,000 원 (현금 결제시)
새길 이름
(漢字인 경우 漢字로 입력)
새김 언어
(좌측 사진선택)
측면 메시지
인신새김
(좌측 사진선택)
주문 수량
updown
기타 요구사항
0/500 (상단 혹은 좌우에 삽입할 ★‚●‚1 등 명시)
 


      맘모스상아도장

                 ​

 

               희귀한 재료 맘모스상아

           

                     맘모스는 약 480만년 전부터 4천년 전까지 시베리아와 북미의 툰드라지역에 살았던 포유류 초식동물이며 긴 코와 4m길이의 어금니를 가졌습니다. 

                     혹심한 추위에도 견딜수 있게 온몸이 털로 뒤덮혀 있었지만 마지막 빙하기 때 멸종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홍적세 중기부터 후기에 걸친 빙하기에 생존하으며 특히 중기에 생존했던 것은 고형() 매머드라고 하며 크기는 3m~5.5m 정도로, 코끼리로서는
                     중형이나 대형의 부류에 속합니다. 현재까지 얼음 속에서 죽은 매머드가 동부 시베리아를 중심으로 알래스카 등지에서 많이 발견되어 화석코끼리
                     중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매머드의 절멸의 원인에 대해서는 기후변화설, 인류사냥설 등의 가설이 있지만 확실히 밝혀진 것은 없습니다.


                    

                     매머드는 인류와 관계가 깊은데, 구석기시대 후기에는 대형동물의 대표로서 사냥의 첫째 대상이었으며 그 당시의 동굴벽화에 매머드 사냥 그림이
                     묘사되어 있는 것만 보아도 관계가 밀접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맘모스는 러시아·북아메리카 대륙에 분포하였으며 일본에서는 홋카이도에서 발견되
                     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35년 함경북도 온성군 강안리에서 골격화석이 발견되었고 1996년에 전라북도 부안에서 어금니와 골격화석이 발견되기도
                     하였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매머드 [mammoth] (두산백과)

 

 

              지구상 마지막 인장 맘모스상아도장        

   

                    맘모스상아는 1990년대말 까지는 시베리아 지역의 재료상을 통하여 어렵지 않게 구입할 수 있었으나 이후 그 희귀성으로 인하여 점차 만나
                    보기 어려운 재료가 되었으며 현재는 어디에서도 구할 수가 없습니다. 여기에 선보이는 맘모스상아 재료는 약 30년전 저의 부친께서 특별한
                    경로를 통하여 구입한 후 각별하게 보관하고 있던 19점 한정의 재료입니다. 따라서 본 물량이 소진된 후에는 더이상 판매가 어려운 도장재료입니다.

 

                   

              수만년 동안의 동면에서 깨어난 맘모스상아도장   

 

                                       

                     수만년동안 동면과정에 있던 맘모스상아는 그 조직이 매우 단단하면서도 일반 상아처럼 세로방향으로 섬유조직과 같이 미세한 관이 있어서 오래
                     사용할 수록 인주의 붉은 색이 윗쪽으로 타고 올라오는 관록을 보여줍니다. 다만 현대의 일반 상아처럼 마름모꼴 무늬는 없습니다. 그러나 그 단단함은
                     상아보다 더 견고하고 중량 또한 더  무거워서 수만년 세월의 무게감을 중후하게 느낄 수가 있습니다.

                     이미 돌처럼 화석화 된 상태여서 돌맹이를 새길때의 느낌과 같습니다.

                     맘모스상아의 진위 여부는 우선 그 무게감에서 차이가 납니다. 가짜의 경우는 크기와 부피에 비하여 상당히 가볍습니다. 두번째 진위여부는
                     인면을 사포에 갈아서 그 냄새롤 맡아보면 알 수가 있는데 진품 맘모스상아는 상아와 비슷한 비릿한 단맥질 냄새가 나지만 가짜인 경우는 화학성분이
                     강한 플라스틱 냄새가 납니다.

                ​

                  

 

    같은 모양이 없습니다 

                     
                     

                     세상에 하나밖에 없는 작품을 만들기 위하여 한점 한점 수작업으로 갈고 다듬었습니다. 따라서 같은 모양이 없습니다.

                     재료는 상품주문창에서 고유번호가 부여된 사진을 보고 직접 선택 하실수 있습니다.


    전공정 수공제작 

​                    

                     예인의 도장은 인면의 서체 새김부터 인신새김까지
                     일련의 모든 제작과정을 작가가 직접 수공작업으로
                     하며 절대 학습자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서체는 학문입니다

                     전문 전각초대작가의 도장은 서체가 다릅니다. 전각은 예술의 한 장르이며 
                     동시에 학문의 결정체입니다.  예인의 전각도장은 수천년에 걸쳐 변화 발전
                     되고 정립된 서예기반의 예술과 학문을 바탕으로제작되어집니다.예인의 
                     도장은 '한글훈민정음체'와 '한글판본체' 그리고 '한문전서체'를 기본서체로 합니다.

                     ​원하시는 기본 서체는 상품주문창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한글 훈민정음체

                     
                    

                        정원형의 도장재료에 적합한 한글 훈민정음체


                    

                        변화를 추구한 한글 훈민정음체


                    
 

                     天(●) 地(ㅡ) 人(ㅣ)을 기본으로 하는 한글 훈민정음 서체의 원형은 [용비어천가] 제1장
                     "불휘기픈남간바라매아니뮐쌔곶됴코여름하나니 새미기픈므른가마래아니그츨쌔내히
                     이러바라래가나니......"에서 알 수 있듯이 부드러운 고딕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예인의 도장은 그 디자인을 왜곡시키지 아니하고 약간의 변화와 창조과정을 거쳐 아름다운
                     훈민정음체 도장을 만듭니다.
                     이는 일제강점기 이후 변형되고 왜곡되어 우리 한글도장에 새겨져왔던 소위 '한글전서체'라는
                     근본도 없는 서체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아름답고 뛰어난 서체입니다.

                     점과 선과 동그라미의 어우러짐에서 무한한 변화를 느낄수 있으며 자연스레 확보되는 적당한
                     공간의 배치는 우리에게 넉넉한 여유로움마져 안져줍니다.

                     天地人으로 이루어진 우리 한글 이름에는 이미 우주의 정기와 음양의 조화와 균형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  한글 판본체


                      
 

                      한글판본체는 한글 고전서체로서 [훈민정음언해]를 비롯하여 [월인천강지곡]
                      [두시언해][심청전][홍길동전] 등이 모두 판본체로 인쇄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통서각기법으로 목판에 새겨서 책으로 발간된 한글 서체로서 선획의 질감과
                      선 끝의 모양이 붓글씨 서체와는 또 다른 지극히 졸박하고 순박한 맛이 일품입니다.

                      은근히 베어나오는 판본체의 고졸미에서 우리는 세월이 가면 갈수록 보면 볼수록
                      정감이 가고 싫증나지 않는 우리 글자의 미학을 느낄수 있습니다.

 

 

             ​■  한문 전서체(漢文篆書體)

 


             

            

 

                      기원전 BC1400-BC1046년 중국 은(殷)왕조 시대에 북방에 거주하던 동이족(東夷族, 
                      동쪽의 활 잘쏘는 민족, 현재 韓民族의 조상)이 거북의 껍질과 소의 뼈에 새겨서 사용하던 
                      그림에 가까운 형태의 갑골(甲骨)문자가 한자의 기원입니다.

                     

                     
 

                      이후 갑골문이 글자의 형태를 갖추며 발전하는 과정에서 주(周)나라 때에는 금문(金文) 또는 고문(古文)의
                      형태로, 진(秦)나라 때에는 소전(小篆) 즉 전서(篆書)라는 서체로 통일된 모양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 전서체(篆書體)를 도장으로 새기기 시작하면서 전각예술이 발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전서체는 해서(楷書)나 예서(隸書)와 달리 군더더기 없는 뼈대로 이루어졌으며 左.右.上.下의 
                      균형미가 뛰어난 서체이기에 황제의 옥새는 모두 전서로 새겨졌으며 이후 모든 도장서체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예인의 한문도장은 모두 전서(篆書)를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금문(金文)과 갑골문(甲骨文)을 사용합니다

 

 


     희망과 행운을 가져다 주는 인신새김

 

                
                 
          

                   

                    

                   

                    

                  

     작품확인서     

                  

                     작품확인서는 인쇄된 종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고귀함의 상징인 노란색 한지에 주문자의 완성된 작품도장을 찍고 
                     작가가 직접 붓으로 제작일자와 작가명을 쓰고 
                     끝으로 작가의 낙관인을 찍어서 완성합니다.

 

 

 


     도장과 인주를 한 케이스에  

               

                      고급 인주와 도장작품을 하나의 상자 안에 편리하게 보관하실수 있도록
                      하드케이스를 준비하였습니다.
                      하드케이스와 고급인주는 예인의 기본 제공품입니다. 

 

 

               

                     작품확인서를 함께 동봉하고 전통한지로 예쁘게 포장합니다.

 

             

           

                      완성된 작품은 안전하고 확실하게 우체국택배로 발송합니다.
                      발송비는 전액 예인에서 부담합니다.

                      제작기간은 5~7일정도 소요되며 주문대기량에 따라 연장될 수 있습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용약관
상호 : 예인새김방 | 사업자등록번호 : 133-01-74755 | 대표 : 김광동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4-경기안산-0814 호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예술대학로 105 603-101(고잔동, 주공아파트)
작업공방 : 경기도 시흥시 군자로 336(거모동 522-4번지)
고객센터 : 031-484-3653 | E.mail : yein5585@naver.com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광동
Copyright ⓒ Yeinsegim All rights Reserved.
인증마크
가입사실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