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로그인  |  회원가입  |  장바구니  |  My page  |  주문조회   
SEARCH
전각초대작가 예인의
도장은 인면의 서체새김
부터 인신새김까지 일련
의 모든 제작과정을 작가
가 직접 수공작업으로
하며 절대 학습자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Email Phone Kakao
HOME > 죽근인.뿌리.황양목.주목 > 죽근도장(대나무뿌리)
도장재료 고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서체 샘플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서체명 : 클릭-서체선택-죽근인
인신문양 샘플보기 ▶ 아래사진을 Click하세요
문양명 : 클릭-문양선택
작품명 클릭-재료선택-죽근인
도장크기
재료번호
판 매 가 0 원
적립포인트
재 질
제 작 예인새김방

주문가격 0 원
적립금(5%) 0 원 (현금 결제시)
새길 이름
(漢字인 경우 漢字로 입력)
새김 언어
(좌측 사진선택)
측면 메시지
인신새김
(좌측 사진선택)
주문 수량
updown
기타 요구사항
0/500 (상단 혹은 좌우에 삽입할 ★‚●‚1 등 명시)
 


 

    죽근인(대나무뿌리도장)

                    

                     죽근(대나무뿌리) 이야기

                     대나무는 예로부터 지조있는 선비를 상징했으며, 대쪽같은 품성은 올곧게 지켜내고자
                     하는 절개節槪와 정절貞節을 상징했습니다. 고대 중국의 유교에서는 아버지를 상징했으며
                     그 속이 비어있기 때문에 득도得道를 상징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연유로 조선의 선비들은 귀하디 귀한 죽근인을 선호하였으며 도장재료로 즐겨
                     사용하였습니다.

                 죽근은 시인 김삼행님의 표현대로 "땅 밑에서 시련을 견딘...어머니 인생 닮은 인고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죽근도장은 싹이 나고 3년째 정도된 참대 뿌리를 사용합니다. 
                
한겨울 매서운 추위를 이겨낸 대나무는 그 중심까지 살이 두꺼워져서 도장으로 조각
                 하기에 안성마춤이 됩니다.  
잘 말려진 죽근은 그 굽는 방법에 따라 저마다 독특한 모습
                 으로 탈바꿈하는데
그 겉모습의 형상이 모두 다르고 구부러짐과 비틀림으로 달라지고 
                
마디의 색상과 얼룩이 달라집니다. 똑같은 모양의 죽근인은 세상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인간에게 내면과 외면이 있는 것처럼 죽근인은 특유의 질감으로 찍은 서체의
                 모습(인영)이
가지는 내면의 가치와 죽근 자체의 외형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모양과 
                 색상의 아름다움이 더하여져 더욱
품격있는 작품으로 승격하여 평생 옆에 두고 벗하며 
                 즐길수 있습니다.

 

                     본 재료는 대나무의 고장 담양에서 채취한 대나무의 뿌리부분을 손수 다듬어서
                     도장재료로 만든것입니다.

 

                    
 

                     대나무 뿌리가 도장재료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과 정성을 필요로 하는데, 대나무
                     밭에서 채취한 죽근은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가마솥에 소금과 물을 함께 넣고 8시간 이상을
                     끓여서 염분과 진액을 제거한 후 6개월이상 음지에서 건조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온전한 도장
                     재료로 사용할 수가 있습니다. 대나무 뿌리는 다른 나무에 비하여 조직의 경도가 떨어집니다.
                     대나무의 윗 줄기부분은 원래 속이 비어있으나 뿌리부분은 충실하게 속이 차있는 편이며, 특히
                     뿌리의 마디부분은 도장을 새길수 있을 정도의 밀도와 강도를 지니고 있습니다.
                     죽근은 특히 한글전서체 도장에 잘 어울립니다.


    같은 모양이 없습니다 

                     

                      
    

                     대나무뿌리(죽근)은 그 특성상 전문 가공업자에게 맡길 수 없기에 작업실에서 직접
                     가공하였습니다.  따라서 모양이 모두 제각각이고 그런 만큼 하나 하나 개성이 뚜렷한 것이 특징입니다.

                     재료는 상품주문창에서 사진을 보고 직접 선택 하실수 있습니다.

                     *** 본 도장은 통장개설과 인감 등재용으로 가능합니다 ***​

     전공정 수공제작 

​              

 

                     예인의 도장은 인면의 서체 새김부터 인신새김까지
                     일련의 모든 제작과정을 작가가 직접 수공작업으로
                     하며 절대 학습자에게 맡기지 않습니다.

 
      서체는 학문입니다

 

                      전문 전각초대작가의 도장은 서체가 다릅니다. 전각은 예술의 한 장르이며
                      동시에 학문의 결정체입니다.  예인의 전각도장은 수천년에 걸쳐 변화 발전
                      되고 정립된 서예기반의 예술과 학문을 바탕으로제작되어집니다.예인의
                      도장은 '한글훈민정음체'와 '한글판본체' 그리고 '한문전서체'를 기본서체로 합니다.

                      ​원하시는 기본 서체는 상품주문창에서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  한글 훈민정음체

                    

                      ​정 원형의 도장재료에 적합한 한글 훈민정음체이나 자유로운 모양의 도장에도 잘 어울립니다.

                 

                     ​훈민정음체를 응용하여 변화를 추구한 서체입니다.  다소 자유로운 형태의 도장재료에 잘 어울립니다.  

 

                     天(●) 地(ㅡ) 人(ㅣ)을 기본으로 하는 한글 훈민정음 서체의 원형은 [용비어천가] 제1장
                     "불휘기픈남간바라매아니뮐쌔곶됴코여름하나니 새미기픈므른가마래아니그츨쌔내히
                     이러바라래가나니......"에서 알 수 있듯이 부드러운 고딕의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

                     예인의 도장은 그 디자인을 왜곡시키지 아니하고 약간의 변화와 창조과정을 거쳐 아름다운
                     훈민정음체 도장을 만듭니다.
                     이는 일제강점기 이후 변형되고 왜곡되어 우리 한글도장에 새겨져왔던 소위 '한글전서체'라는
                     근본도 없는 서체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이 아름답고 뛰어난 서체입니다.

                     점과 선과 동그라미의 어우러짐에서 무한한 변화를 느낄수 있으며 자연스레 확보되는 적당한
                     공간의 배치는 우리에게 넉넉한 여유로움마져 안져줍니다.

                     天地人으로 이루어진 우리 한글 이름에는 이미 우주의 정기와 음양의 조화와 균형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  한글 판본체


                   

                      한글판본체는 한글 고전서체로서 [훈민정음언해]를 비롯하여 [월인천강지곡]
                      [두시언해][심청전][홍길동전] 등이 모두 판본체로 인쇄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전통서각기법으로 목판에 새겨서 책으로 발간된 한글 서체로서 선획의 질감과
                      선 끝의 모양이 붓글씨 서체와는 또 다른 지극히 졸박하고 순박한 맛이 일품입니다.

                      은근히 베어나오는 판본체의 고졸미에서 우리는 세월이 가면 갈수록 보면 볼수록
                      정감이 가고 싫증나지 않는 우리 글자의 미학을 느낄수 있습니다.
                      한글판본체는 특히 죽근도장에 잘 어울립니다.

 

             ​■  한문 전서체(漢文篆書體)

 

               
               
              

 

                      기원전 BC1400-BC1046년 중국 은(殷)왕조 시대에 북방에 거주하던 동이족(東夷族, 
                      동쪽의 활 잘쏘는 민족, 현재 韓民族의 조상)이 거북의 껍질과 소의 뼈에 새겨서 사용하던 
                      그림에 가까운 형태의 갑골(甲骨)문자가 한자의 기원입니다.

                      이후 갑골문이 글자의 형태를 갖추며 발전하는 과정에서 주(周)나라 때에는 금문(金文)의
                      형태로, 진(秦)나라 때에는 소전(小篆) 즉 전서(篆書)라는 서체로 통일된 모양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이 전서체(篆書體)를 도장으로 새기기 시작하면서 전각예술이 발전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전서체는 해서(楷書)나 예서(隸書)와 달리 군더더기 없는 뼈대로 이루어졌으며 左.右.上.下의 
                      균형미가 뛰어난 서체이기에 황제의 옥새는 모두 전서로 새겨졌으며 이후 모든 도장서체의 
                      근간이 되었습니다.

                      예인의 한문도장은 모두 전서(篆書)를 기본으로 하며 필요에 따라 금문(金文)과 갑골문(甲骨文)을 사용합니다


     희망과 행운을 가져다 주는 인신새김

 

                
                 
          

                   

                    

                   

                    

                  

     작품확인서     

                  

                     작품확인서는 인쇄된 종이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고귀함의 상징인 노란색 한지에 주문자의 완성된 작품도장을 찍고 
                     작가가 직접 붓으로 제작일자와 작가명을 쓰고 
                     끝으로 작가의 낙관인을 찍어서 완성합니다.


     도장과 인주를 한 케이스에  

               

                      고급 인주와 도장작품을 하나의 상자 안에 편리하게 보관하실수 있도록
                      하드케이스를 준비하였습니다.
                      하드케이스와 고급인주는 예인의 기본 제공품입니다. 

 

 

               

                     작품확인서를 함께 동봉하고 전통한지로 예쁘게 포장합니다.

 

             

           

                      완성된 작품은 안전하고 확실하게 우체국택배로 발송합니다.
                      발송비는 전액 예인에서 부담합니다.

                      제작기간은 5~7일정도 소요되며 주문대기량에 따라 연장될 수 있습니다.


                       

 

 

 

 


 
회사소개 | 개인정보 취급방침 | 이용약관
상호 : 예인새김방 | 사업자등록번호 : 133-01-74755 | 대표 : 김광동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14-경기안산-0814 호
소재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예술대학로 105 603-101(고잔동, 주공아파트)
작업공방 : 경기도 시흥시 군자로 336(거모동 522-4번지)
고객센터 : 031-484-3653 | E.mail : yein5585@naver.com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김광동
Copyright ⓒ Yeinsegim All rights Reserved.
인증마크
가입사실확인